기타/살며 생각하며

두충나무

가야산도사(倻山) 2003. 10. 30. 14:05

식물명 : 두충나무 Eucommia ulmoides Oliver(두충나무과 Eucommiaceae)

생약명 : 두중(杜仲), Eucommiae Cortex - 두충나무의 수피.

  중국원산으로, 산지에 나는 낙엽교목. 키 10m. 잎은 호생, 타원형, 끝이 아주 뾰족하고, 길이 5-16cm, 예리한 톱니, 잎을 찢으면 많은 가는 실을 볼 수 있음.   꽃은 암수딴그루, 화피는 없음. 수꽃은 꽃자루에 수술 4-10개이며, 암꽃은 햇가지 밑에서 짧은 꽃자루에 달리고, 암술머리는 2갈래. 열매는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날개가 있고, 자르면 고무같은 점액질의 실이 나옴. 개화기는 4-5월, 결실기는 9-10월.

성미 性은 溫하며 味는 甘, 머辛하다.
함유성분 : Gutta-percha, Ketose, Chlorogenic acid, Pectin.
효능.효과 :
재취시기 : 여름(7-8월).
국내주요산지 : 충북 청주를 비롯하여 충남 공주 및 경기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재배방법 : 육묘이식법,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재배할 수 있다. 재배분포로 보면 경기, 충북, 경북, 전남북 등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토질은 표토가 깊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 및 습역질토(濕역質土)가 좋고 경사지 개간지 등에 재배할 수 있다.




◇ [약용식물] 두충 - 생약천연약품으로 각광

한약이라면 일반적으로 인삼, 녹용 등을 떠올리는데 이들 약재처럼 뛰어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오랜 옛날부터 각광을 받아온 한약재로 두충이 있다. 이 두충은 중국에서는 인삼보다 귀했기 때문에 「환상의 약초」로 불렸으며 선목(仙木)으로 알려져 왔다.

중국 고대 야사에는 두충이라는 도선인(道仙人)이 두충나무잎을 먹고 득도를 하였다고 「두충나무」라고 불리게 됐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현재도 중국 서민들은 두충나무의 어린 잎을 불에 쬐여 말린뒤 두충차를 만들어 마시는 것을 건장장수의 선법(仙法)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문종 33년인 1079년에 「문종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송나라로부터 두충을 들여왔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한약재로 사용돼 왔는데 최근에는 현대의학에서도 고혈압 등 성인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임상연구자료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두충 신드롬」까지 생기고 있다.

두충은 식물분류학상 두충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원산지는 중국 중서부이지만 지리산 등 심산유곡에 자생하고 있으며 최근 농가에서 특용작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두충나무는 은행나무처럼 암수가 다른 나무로 되어 있으며 수령이 20년이 넘어면 20m이상 거목으로 자라고 4~5월경에 담록색의 작은 꽃이 핀다.

한방에서 사용되는 두충나무의 껍질은 수령이 15~16년 지나야 채취할 수 있으며 차로 사용하는 어린잎은 2년째부터 수확할 수 있다. 두충나무의 껍질은 표면이 회갈색으로 꺼칠꺼칠하며 안쪽은 어두운 자갈색으로 매끈매끈하다. 이것을 자르면 은백색의 고무상태의 실이 꼬리를 물고 나와 두충나무를 「목면(木棉)」, 「사연피(絲連皮)」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두충나무의 수피는 4월 상순에서 6월중순 사이에 채취하고 겉껍질은 제거하고 속껍질만 사용한다.

두충은 보정(補精)을 시켜주는 생약으로 그 효과가 놀라울 정도로 알려져 있어 생약천연약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성분은 고무질, 구다페르카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수지, 회분, 유기산, 비타민, 글로로겐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맛은 맵고 달며 약성은 따뜻하고 독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두충을 강장제로 주로 쓴다. 신장이 약해서 정기(精氣)의 쇠퇴로 인한 요통, 무릎이 차고 시린 증상, 몽정, 조루, 소변불리에 놀라울 정도로 뛰어난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정력을 보강하여 남녀의 음하습과 가려움증, 소변이 잦고 힘이 없고 나른한데 아주 효과적이다. 한의서인 본초강목에서는 두충을 허리와 무릎 통증 해소와 정력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어느 소년이 결혼을 한지 얼마 되지않아 걸을 수 없는 병에 걸려 중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치료를 했으나 병세가 호전되지 않았으나 명의로 알려진 손림이 두충을 술로 달여 먹여 소년은 3일만에 걸을 수 있게 됐다. 두충은 본래 허리와 무릎에 잘 듣는 약이다.

이와 함께 신경통, 관절염, 하체허약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데 잎을 말린 두충차를 수시로 마시면 두충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현대의학에서도 두충은 고혈압 치료약, 진통약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두충에는 피노레지놀, 다이글루코사이드라는 성분이 있어 혈관을 급속히 확장, 진정시키는 한편 진통·진정효과를 지닌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

두충과 알콜로 팅크를 만들어 고혈압 환자 119명을 대상으로 치료를 한 결과, 45일후에 혈압이 정상으로 내린 환자가 32%, 10㎜Hg이상 내린 환자가 29%로 고혈압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는 임상연구가 보고된 바 있고 토끼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두충팅크가 동맥경화를 일으킨 토끼의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한의사들은 『두충은 중국에서 신비의 나무로 불릴정도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지만 사탈피, 사삼과 함께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이에 열이 있거나 음기(陰氣)가 약해 몸에 불이 있는 듯 뜨거운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남신문 -


두충나무  杜仲, 絲棉皮, 玉絲皮, 思仲  Eucommia ulmoides Oliver                       두릅과

낙엽 교목. 높이 10m에 달하며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경 엷은 녹색으로 피며 자웅이주로서 수꽃은 적갈색이며 6-10개의 짧은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자루에 1개씩 붙는다. 열매는 날개가 있고 긴 타원형으로 편평하며 끝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수피를 두중(杜仲) Eucommiae Crotex라 한다.

성분 : Gum質-guttapercha(ulmoprenol), Iroidoid류-aucubin, harpagideacetate, ulmoside, geniposide, geniposidic acid, cyclopentanoid:eucominol, Dilignan배당체:d-pinoresinol-o-β-D- glucopyranoside, liriodendrin, d-pinoresinol-야-o-β-D-glucopyuranoside, d-medioresinol-d-i-o-β-D-glucopyranoside olivil-di-o-β-d-g-lucopyranoside:수피 0.1-4.0%,(aucuvin), 잎 1.6-1.7% (aucubin, major comp)

생지 : 밭, 산지에 자란다.

분포 : 중남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중국이 특산이며, 현재 중국 중남부의 각성일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약효 ; 수피,엽은 혈압강하작용, 특히 수피는 보간신(補肝腎), 강근골, 안태작용(安胎作用), 신허요통, 임신누출, 근골무력, 익정기, 강지, 허리 무릅통증 유산방지, 강장약, 요통, 관절통, 관절염, 건근골, 하지위약, 진정, 진통, 소변불리 등에 수피를 전제로 하여 쓴다.

동속약초 : 두충의 대용품으로 속이 다른 화두충사철나무, 대만두충나무가 있다.

번식 : 종자, 삽목

비고 : 1970년대 이후 잎과 껍질을 한번 찐다음 건조하여 차로 마시고 있다.

'기타 > 살며 생각하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와 고혈압  (0) 2003.11.19
"코리아 넘버 원"  (0) 2003.11.14
비타민  (0) 2003.09.20
등산과 입산  (0) 2003.09.03
만약에...  (0) 200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