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탐방/타지방문화유산 78

고성 왕곡마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1리 소재-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 -고려 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하며 형성,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한옥마을-앞마당은 개방되고 집 뒷마당은 담으로 폐쇄되어 아파트식 구조인 양통집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룸-2000,1월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2025.3.19방문)[국가문화유산포털 요약]

설악산 신흥사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소재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신라 진덕여왕 7년(653년) 자장(慈藏)이 창건, 향성사(香城寺)라고 불렀다.-효소왕 10년(701년) 수천 칸에 달하는 대사찰이 화재로 소실.-그 후 의상(義湘)이 이곳 부속암자인 능인암(能仁庵) 터에 선정사(禪定寺)세웠으나. 선정사는 조선 중기 인조 22년(1644년)에 다시 소실 - 이후 다시 절이 세우고, 신의 계시로 창건하였다고 하여 신흥사라 부르게 되었다. - 1681년 양양 대지진으로 다시 붕괴, 다시 지어졌다. -6.25 전쟁 때 신흥사에 소장되어 있던 경판(목판)이 국군에 의해 땔감으로 소각. 그 중 277판이 남음[나무위키 발췌]

낙산사 의상대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전진리 57-1)소재-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흥사의 말사-강원도 영동지방 관동팔경 중 하나- 671년 신라의 의상이 창건, -칠층석탑(보물 499호),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1362호), 해수관음공중사리탑 및 사라장엄구 일괄(보물 1723호) 등의 국가유산. 있다. -2005년 화재로 보물 479호였던 낙산사 동종이 융해, 소실로 문화재 지정 해제2005년도 산불로 녹아내린 동종

체화정

[체화정 棣華亭]-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태사로 1123-10소재-1985. 10. 15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2019. 12. 30일 보물로 지정-조선 영조 37년(1761)에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으로 그의 형인 옥봉 이민정 선생과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 -연못에는 삼신산을 상징하는 세 개의 인공섬(방장, 봉래, 영주)조성-앞면 3칸·옆면 3칸의 2층 건물로 팔작지붕.-1층은 지면과 떨어져 있고 온돌방 1칸을 만듦. -현판 '담락제'는 단원 김홍도 글씨[위키백과 발췌]

선봉사 대각국사비

-경북 칠곡 북삼 숭오리 1435-1 소재 고려시대 탑비.-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51호로 지정-고려시대 천태종 창시자인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 공덕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2개 비 중 하나.-고려 인종 10년(1132)에 비문을 짓고 인종 15년(1137)에 세움-전체 높이 약 3.5m 옥개석, 비신, 비좌로 구성. 비신은 점판암, 옥개석과 비좌는 화강암으로 제작. 옥개석은 지붕 형태로 각 면에 얕은 운문을 양각-비신 전면 상단 중앙에는 ‘천대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의 제액을 두고 양 옆으로 각각 1구씩 봉황과 운문을 새김-비신 전면에는 비문 37행 각 행 71자를 각자하였다. 후면에는 별다른 문양 없이 25행, 각 행 43자를 각자함

독립기념관

•독립기념관(獨立記念館, Independence Hall of Korea)은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자 역사박물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남화리 230)소재.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며, 국민모금을 통하여 1987년 8월 15일 개관. (위키백과) •개관 때 아내와 아이 둘 봉고6밴을 이용, 전날 밤에 주차장 도착해 차에서 자고(요즘 유행하는 차박). 이튿날 아침 인파소리에 일어나 아침도 못해 먹고 관람한 추억이 있음.입구의 조형물돌아가는 꽃탑조형물태극기광장과 기념관독립기념관 중앙조형물대한광복군서명 태극기성주출신 심산 김창숙선생어록비 '변호사를 거부하다' https://dev.i815.or.kr/2018/exhibit/sheaRok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