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경상권旅行

칠곡 동명 도덕암

가야산도사(倻山) 2010. 12. 20. 22:18

  도덕산 도덕암(道德山 道德庵)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에 있는 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 말사이다

 신라 눌지왕 때 창건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기록은 없어 알수 없다

 고려 광종 19년(968년) 혜거국사가 칠성암이라는 사명을 가지고 중수했다는  사적만이 남아있다

송림사 남동쪽 도로변에 초입을 알리는 이정표가 있다

  총연장 2km거리의 진입로는 시멘트 포장으로 잘 단장되어 있다

가는 길은 소나무가 빽빽하게 서 있는 좁은 오솔길이다

 

도덕암에 다닿을 즈음이면 S자 급커브 오르막길이 두어번 있어 초보 운전자는 엄두가 나지 않는다.

  내리자 조그만 이름 보를새가 반겨 준다

주차장에서 본 도덕암, 소나무 거목이 도덕암을 살짝 가린다

소각장

좁은 절터에 다닥다닥 건물이 밀집되어 있어 약간 답답해 보인다

도덕암 앞의 큰 나뭇가지위엔 까치집이 두어개 있다.

도덕암의 원래 이름은 칠성암, 칠성암은 고려 광종4년에 혜거대사가 창건하였다.

광종은  고승인 혜거대사를 왕사로 모시려여러범 사람을 보냈으나 번번히 거절했다 .

그래서 광종이 친히 어가를 몰아 도덕암으로오시게 되었고 왕사를 권했으나 대답은 같았다. 대사가  돌아가려는 왕에게 며칠 쉬면서 속병을 고치시라고 권유하여 3일간 쉬면서절의 샘물을 먹고 씻은듯 속병이 나았다. 이런 연유로 이 샘을 어정수라 부르게 되었다

이후 왕의 지원이 아낌없이 이어지고 조선 철종4년 당시 큰스님이던 몽계스님이 공부하였다하여 길도자와 큰덕자를 써 도덕암이라 부르게 되었다한다.

도덕암 극락보전

 

 

 

 

 

어정수와 더불어 2대보물로 여기는 수령800년의 모과나무,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도덕암 나한전 내 제상(문화제자료 509호)

도덕암 나한전 내에는 석조삼존상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나한상8구가 있다

 

 

추운 날씨임에도 나한전앞에서 열심히 기도 중인 모정

 

 

도덕암 전경, 뒤로 도덕산 정상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