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방조제의 북쪽 끝에 있는 비응항에서 출발하는 선유도행 유람선을 예약했는데 첫배가 10:30 출발이다
숙소에서 06:00에 일어나 아침을 먹고 부지런히 준비하니 07:30 출발 할 수 있었다
네비게이션을 설정하니 육로로 70여KM, 아직 새만금방조재길이 네비에 나오지 않아 돌아가는 길로 설정된다
출발과 동시에 빗방울이 내리고 바람이 분다. 혹시나 하는 불안함 스친다.
새만금방조제를 들어서니 비바람이 더욱 세차다. 차를 세우고 기념촬영하려다 비바람이 세차게 불어 포기하고 비응항으로 향했다
왼쪽 신시도 뒤로 오늘의 목적지인 고군산열도 즉 선유도 등 섬들이 안개 속에 이름 그대로 옹기종기 모여 있다
신시도배수갑문을 지나 오른쪽 공원에 들어 가려니 차량 출입금지. 그대로 통과했다.
비응항이 왼쪽으로 보이는 시각, 09:03 전화벨이 울리고 예상했던 "출항 포기, 그러나 13:30에 배가 뜰 수 있을 것 같으니 시간 맞춰 오라"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다
비응항관광안내소에 들어가 군산의 관광명소를 찾아보고 낮선 곳에서 시간죽이기에 들어갔다.
진포해양테마공원, 월명공원, 은파물빛다리등을 추천 받았다
진포해양테마공원에 도착하니 비가 그치지 않아 우산을 펴려는데 거센 바람에 우산을 펴지 못해 되돌아 나와 비닐우의를 준비하고
다시 들어 가니 비로 인해 전함 등을 안전상 개방하지 않는다는 안내로 되돌아 나왔다. 비가 오고 바람부니 시간 죽이기도 어려웠다.
숙소로 돌아가면서 새만금방조제를 찬찬히 구경하기로 했다
새만금방조제 37km길은 방조제 상단에4차로(편도 2개차로), 상단과 안쪽 하단에 2개차로(편도1차로)가 각 설치되어 있어 고속도로와 같은 새 도로가 개통된 점이 특이하다
새만금 방조제[다음백과 발췌]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 앞바다를 연결하는 방조제 33km를 세우고, 그 안에 땅 28,300 ha, 호수 11,800 ha를 만들 계획이다.
사업 자체는 전북 옥구군 옥서면을 중심으로 한 금강, 만경강, 동진강 하구를 둘러싼 갯벌을 개발하려는 옥서지구농업개발계획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나중에 새만금사업으로 바뀌었다. 원래 옥서지구농업개발계획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뉘어 있었다.
1단계는 금강 하구둑을 건설하여 배수시설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2단계는 김제지구에 방조제를 쌓아 갯벌을 간척하고 만경강 주변 농경지에 관개배수시설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87년 12월 10일 대선후보로 출마하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정치적 목적으로 이것을 이용하였다 즉, 저개발 상태인 전북 지역에 개발 공약으로 제시되었으며, 농지 공급 부족 대책으로 사업시행을 허가하였던 처음의 국가적 명분과는 달리 점차 공업용지가 늘어났다.
사업 개요
사업명 : 새만금종합개발사업
사업목적 : 동북아의 경제중심지로 개발
위 치 :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일원
사업면적 : 40,100㏊(토지 28,300㏊/담수호 11,800㏊)
주요공사 : 방조제 33㎞, 배수갑문 2개소, 방수제 125㎞
사업기간 : 방조제(1991~2010년)/내부개발(2010~2020년)
- 연도별 사업 추진 현황
- 1975년 ~ 1987년 서남해안 간척자원 조사, 외곽시설 실시설계
- 1989년 11월 ~ 1991월 6월 사업시행 인가 고시(고시 제91-36호)
- 1991년 11월 16일 새만금 간척공사 기공
- 1991년 11월 28일 제1호, 제3호 사석제 끝막이 완공
- 1994년 7월 25일 제1호 방조제 공사 준공
- 1998년 12월 30일 민관공동조사 실시
- 1999년 5월 ~ 2000년 6월 정부의 친환경적 순차개발 계획 확정
- 2001년 5월 25일 정부방침에 대한 세부실천계획 확정
- 2001년 8월 6일 신시배수갑문 기전공사 착공
- 2002년 3월 13일 가력배수갑문 기전공사 준공
- 2003년 12월 30일 방조제 33km 최종연결공사 성공
- 2006년 4년 21일 끝막이 이후 방조제 단면 보강공사
- 2006년 5월 주요공정 - 방조제 도로높임 및 성토공사
- 2007년 가력, 신시 저층수배제시설 설치
- 2008년 2월 내부간척지 지형도제작 시행
- 2008년 5월 내부개발지 문화재지표조사 시행
- 2008년 12월 내부개발 기본계획 수립
- 2010년 4월 27일 준공(완공)
가력도수문
소라쉼터, 방조제엔 중간 중간에 휴게소(쉼터)가 있다,
바람쉼터
신시도 뒤쪽으로 무녀도, 장자도등 고군산열도의 섬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머지않아 신시도에서부터 무녀도,선유도,장자도등이 연육교로 연결되어 차를 타고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
신시광장(오른쪽)과 주차장(왼쪽)
야미도
돌고래쉼터
풍력발전기
비응항에 있는 새만금종합수산시장
폭풍주의보로 발이 꽁꽁 묶인 유람선
유람선 매표소에서 폭풍주의보로 출항이 어렵다는 확인을 하고 예약을 취소하였다
비응항 전경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군산내항의 명물 뜬다리
야미도 선착장에 묶인 새만금유람선, 선유도로 갈 수 있는 최단거리 유람선이다
[신시광장]
신시광장에서 본 신시갑문
신시광장의 조각
밀물때라 수문 안으로 엄청난 소리를 내며 밀려드는 바닷물
수문 하나가 400여톤이라는데 놀랐다.
지나가는 차량을 비교해 보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신시광장의 보리를 주제로 한 담장
'여행 > 전라권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선이 노닐던 선유도1/2 (20100525) (0) | 2010.05.27 |
---|---|
격포항과 좌수영 세트장 (20100524) (0) | 2010.05.27 |
또 다시 찾은 곰소항(20100523) (0) | 2010.05.25 |
[남도1박2일]보성녹차밭과 빛축제 (0) | 2010.01.16 |
[남도1박2일]녹우당 (0) | 201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