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자료

열차산행하기 좋은 곳

가야산도사(倻山) 2008. 1. 14. 10:47

주말에 산행을 하려면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차편이다.

 

승용차를 타고 다녀오면 편리하겠지만 정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남들보다 한발 먼저 일찍 출발했다가 산행을 마치자마자 일찍 귀경하면 모를까.

그러나 아무리 일찍 서둘러 귀경한다고 해도

도로 위에서 한두 시간 서다가다를 반복하기 일쑤이다. 

 

 

그러나...열차를 이용하면, 길이 막히고 밀려서 서울 도착 시간을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

거기에다 운전을 하지 않으니 하산 후 산친구들과 그 지방 막걸리 두어 잔씩 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그뿐이 아니다.

 

대개 완행 3등 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송대관의 노래가사처럼 ‘차표 한 장’ 사들고 기차를 타고 자리에 앉으면

푸른색 비로도 시트의 감촉이 여간 좋은 게 아니다.

 

게다가 정차하는 역마다 차에 올라타는 그 지방 농민들이나 주민들이

서로 왁자지껄하게 나누는 대화를 듣는 일도 그리 정겨울 수가 없다.

오랜 도시생활에서 각박하기 이를 데 없는 사무적 대화에 찌든 내 귀에는

그분들의, 소란하지만 소박하고 직설적인 대화법이 아주 신선하게 들리는 거다.

그분들의 대화 속에는 인생 살아가는 이치가 생생하게 녹아 있는듯하다. 

 


그런 대화에 귀를 기울이면서 나는 잠시 추억의 책가방 속으로 빠져든다.

 

제일 먼저 의정부역에서 청량리까지 경원선 열차를 타고 다니던 중고등학교 통학생 시절이 생각난다. 이어 난생 처음 바캉스를 간답시고 탔던 콩나물시루 같았던 초만원 강릉행 야간열차의 추억이며, 머리 빡빡 깎고 논산훈련소행 군인열차에 청춘을 내맡기던 막막하던 시절의 추억까지... 기차가 종점에 이를 때까지 상념은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나는 앞으로 되도록 열차산행을 많이 하려고 한다.

 

의외로 수도권에는 당일 가볍게 다녀올만한 좋은 산들이 적지 않다.

혹시 나처럼 열차산행을 하고싶을 때, 어느 산을 가야 할까 하고 고민하는 분들이 있다면 여기에 소개하는 산행 리스트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이 열차산행 리스트를 작성하는 데는

 

①시발역(서울역, 용산역,청량리역, 의정부역 등)에서 2시간 이내의 거리에 있는 산으로서

②역에서 내려 곧장 산행이 가능하거나 현지 택시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산

③산행시간이 3~4시간 정도 소요되는 산

阮寧뼁〉?산행인파가 붐비지 않는 산

⑤난코스, 위험구간이 없는 무난한 산 등을 고려하였다.

 


     열차산행으로 다녀오기 좋은 산   

 


................................................................................................................................................

경원선

-시발역/의정부역 종착역은 신탄리

의정부->신탄리행/출발은 매시간 20분, 첫차는 06:20 막차는 22:00

-신탄리->의정부행/출발은 매시간 정시 출발

-소요시간/의정부->동두천 23분, 소요산 32분, 연천 59분, 신탄리 1시간 19분.

-전철 환승/7호선->1호선 도봉산역 환승, 3호선->1호선 종로3가역 환승, 3호선->중앙선 옥수역에서 환승한다음 중앙선->1호선 회기역에서 환승

-의정부->신탄리행은 예약하지 않고 승차, 10분 이상 미리 승차하면 좌석 많음        

 


회룡 = 사패산(552)

북부 = 천보산(336)

주내 = 불곡산(470)

덕정 = 칠봉산(506) 도락산(440)

동안 = 마차산(588)

소요산 = 소요산(686)

연천 = 성산(510)

신탄진 = 고대산(832)

 

고대산(경원선-신탄리역)


..............................................................................................................................................

경춘선

-시발역/청량리역 종착역은 춘천역

-청량리->춘천행/하루 20회 운행, 첫차는 05:25, 막차는 22:30

06:05, 07:00, 08:00, 09:00, 10:00~18:30, 19:10, 20:05, 20:55~ 

-소요시간/청량리->춘천 2시간(통근), 1시간 50분(무) 청량리->강촌 1시간 40분(통근), 1시간 20분(무)

-전철 환승/3호선 옥수->국철 중앙선(덕소행)->청량리역 환승, 4호선 이촌->국철 중앙선->청량리역 환승, 2호선 왕십리->1호선->청량리역 환승, 5호선 왕십리->1호선->청량리역 환승

-지하철 청량리역은 지하, 국철 경춘선 중앙선 청량리역은 지상에 있음

-예매를 하면 좌석권 가능, 당일 현장 승차권 구입하면 입석권임      

 


평내 = 천마산(812) 백봉(589)

청평 = 호명산(632) 깃대봉(623) 청우산(619)

상색 = 주발봉(409)

상천 = 불기산(600)

가평 = 보납산(330)

경강 = 물안산(443) 월두봉(452)

백양 = 검봉(530)

강촌 = 삼악산(654) 검봉(530) 봉화산(486)

김유정 = 금병산(652)

 

.................................................................................................................................................

중앙선

-시발역/청량리역, 종착역 강릉 영주 안동 부산

-청량리->원주-제천행/하루 9회 운행, 첫차 06:25, 막차 23:30

06:50(무) 09:00(새) 11:00(무) 13:00(무) 15:00(무) 16:00(새) 18:00(무) 21:00(무)

전철 환승/경춘선과 같음

-열차 편이 많이 않으므로 산행 후 돌아오는 차편을 사전에 숙지해야 함

-새마을호나 무궁화호는 작은 역에는 정차하지 않음. 이런 경우 차편이 여의치 않으면 큰역으로 이동하는 불편이 따름(예 ; 간현, 구학 신림은 원주역)

    

팔당 = 예봉산(679) 적갑산(564)

국수 = 청계산(658)

아신 = 백운봉(940) 대부산(743)

원덕 = 추읍산(583)

용문 = 용문산(1157) 중원산

구둔 = 고래산(529) 삼각산(539) 우두산(462)

간현 = 소금산 간현봉

동화 = 명봉산(614)

원주 = 치악산(1288)

구학 = 구학산(971) 주론산(931)

신림 = 감악산(954)

 


.................................................................................................................................................

경부선

-시발역/서울역, 종착역 부산

서울->대전행 10~20분 간격으로 운행, 첫차 05:25, 막차

-소요시간/서울->천안 1시간 7분(무) 69분(새) 서울->대전 1시간 59분(무) 1시간 40분(새) 서울->옥천 2시간 17분(무)

-KTX는 제외했음

-차편이 많기 때문에 예매하지 않아도 좌석 걱정은 없음. 그러나 귀경 차편은 산행 전 예약해두는 것이 좋음

    

천안 = 흑성산(529) 태조봉(421)

대전 = 계족산(423)

세천 = 식장산(597)

황간 = 월류봉(405)

이원 = 달이산(551) 장룡산(656) 대성산(704)

 


오서산(장항성-광천역)

 

.................................................................................................................................................

장항선

-시발역/용산, 종착역 장항

-용산->장항행 매시간 55분에 출발, 하루 16회 왕복 운행, 첫차 05:30 막차 20:55

-소요시간/용산->장항 4시간(무), 3시간 29분(새)

  

도고온천 = 도고산(357)

신례원 = 덕봉산(473)

광천 = 오서산(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