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46년에 가락국(駕洛國)의 김수로왕(金首露王)이 세웠다고 전한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동해 용왕의 아들이 인연이 다하여 낙동강 건너편에 있는 무척산(無隻山)의 신승(神僧)을 찾아가서 새로이 살 곳을 물어보니 "가다가 멈추는 곳이 인연의 터다"라고 했다. 이에 왕자가 길을 떠나니 수많은 고기떼가 그의 뒤를 따랐는데 이곳에 와 쉬니 용왕의 아들은 큰 미륵바위로 변하고, 수많은 고기떼는 크고 작은 화석으로 변했다고 한다.
현재 미륵전 안에 있는 높이 5m 정도의 뾰족한 자연석은 용왕의 아들이 변한 것이라고 하며, 여기에 아이를 못 갖는 여인이 기원을 하면 득남할 수 있다고 전한다.
미륵전 아래에 돌무덤이 첩첩이 깔려 있는데, 이것은 고기떼가 변한 것이라 하여 만어석(萬魚石)이라고 하며, 두드리면 쇳소리가 나기 때문에 종석(鐘石)이라고도 한다.
창건 이후 신라의 여러 왕이 이곳에 와 불공을 드렸다고 하며, 1180년(명종 10)에 중창하고, 1879년(고종 16)에 중건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미륵전·삼성각·요사채·객사 등이 있고, 이밖에 만어사3층석탑이 남아 있다 [글 출처 : 다음백과]
[찾아 가는 길]
대구-대구,부산간 고속도로-삼랑진ic-삼랑진삼거리 좌회전-만어사,
[네비게이션]만어사
아스팔트 포장길이 끝나고 시멘트 반포장길을 올라가면 만나는 이정표
주차장에 내리면 제일 먼저 만나는 암괴류 너덜지대
너덜지대 건너편으로 보이는 미륵전
대웅전 마당에 있는 들돌,
자세히 보니 깨어진 돌을 접착제로 붙여 놓았다
들리면 소원이 이뤄진다나? 안들려야 소원이 이뤄진다나?
대웅전 안에는 노무현전대통령 영정도 모셔져 있었다
보물 제 466호 만어사삼층석탑, 고려시대의 작품이라는 설명이다
만어사 미륵전
미륵전 내부부처님을 모시지 아니하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용왕의 아들이라는 미륵바위
미륵전 뒷 모습, 바위가 엉덩이를 내밀듯 밖으로 나와 있다
소원을 빌며 붙인 동전이 많이 있다
'여행 > 경상권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하동 벚꽃 80리길(20100407) (0) | 2010.04.09 |
---|---|
함양 인산가수련원(20100407) (0) | 2010.04.08 |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과 탑리 조문국 사적지 (0) | 2010.04.03 |
의성 산수유마을을 찾아~ (0) | 2010.04.02 |
그 섬에 가고 싶다 - 지심도 (0) | 201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