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락정 (八樂亭)
-창녕군 유어면 미구리 491-2 소재
-조선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가 세운 팔작지붕의 목조기와 건물로 비지정 문화재
-창녕현감으로 부임(1년 5월)해 흥학교민(興學敎民) 사업으로 팔재를 설립-한강 정구의 팔재(八齊)라 부름
-옥천정(玉泉亭), 술정(述亭), 관산정(冠山亭), 백암정(白巖亭), 물계정(勿溪亭), 부용정(芙蓉亭),팔락정(八樂亭), 만진정(曼津亭)을 이름 (이 중 팔락,관산만 현존)
-한강은 서원을 설립한 후 그 지역의 유력 가문에 운영을 맡긴것이 남아 있는 팔재 목판 편액에 새겨져 있다
팔락이라 함은
1. 맹호도강(猛虎渡江)
정자 앞 낙동강 건너 지형이 범이 건너오는 듯 한 형세를 보는 즐거움
2. 원포귀범(遠浦歸帆)
강 멀리서 포구로 돌아오는 돛단배를 보는 즐거움.
3. 평사낙안(平沙落雁)
평평한 모래펄에 내려앉는 기러기 떼를 보는 즐거움.
4. 북지홍련(北池紅蓮)
정자 북쪽 팔락 호수에 피어 있는 홍련을 보는 즐거움.
5. 역수십리(逆水十里)
정자 앞 개울물이 강의 흐름과 반대로 십리를 흐르는 것을 보는 즐거움.
6. 전정괴수(前庭槐樹)
정자 앞뜰의 회화나무를 보는 즐거움.
7. 후원오죽(後園烏竹)
정자 후원에 있는 오죽을 보는 즐거움.
8. 서교황맥(西郊黃麥)
정자 앞 서쪽들에 보리가 누렇게 익은 풍경을 보는 즐거움.



팔락 정이란 유일한 시설물안내판

팔락정 협문

안으로 들어서면 은행나무와 두 그루의 기목이 반긴다

팔락 정 근. 원경


할락 정현판




중수기 4점이 걸려 있으나 내용을 알 수 없다

내부는 사진 공개를 차마 하지 못할 지경인데 관리에 관심이 필요하다


담장너머로 팔락늪이 조망 된다

나무가 뒷쪽에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