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부정맥
부정맥 질환의 진단과 치료
부정맥..
부정맥이란 심장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발생되어야 하는데 심장은 우심방 윗쪽에 있는 동방결절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자극이 발생한다.
이 자극은 일정한 전기전달체계를 따라 흘러가고 심장을 수축한다.
부정맥은 이런 체계의 변화나 기능이상으로 초래되는 불규칙적이고 비정상적인 심장리듬이다.
부정맥 증상..
부정맥의 종류가 다양하듯 증상도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것부터 실신,돌연사까지 다양하다.
그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은 가슴두근거림(심계항전)이다. 심장이 방망이질 하듯 계속적으로 빠르게 뛰거나 심장 박동이 하나씩 건너 뛰거나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다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가슴통증, 현기증, 맥빠짐 등이 있다
부정맥 원인..
부정맥 증상의 원인으로 가장 흔한 것은 관상동맥질환이며,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율동을 조절하는 전기 체계에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심장 판막 질환과 심장 근육의 염증이 있다고 한다.
선천성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심방과 심실을 잇는 전기 경로의 기형으로 인한 것이다.
또한 부정맥의 원인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장애나 고칼륨혈증 등이 있으며
기관지 확장제나 디지탈리스 제제, 카페인, 담배 등도 부정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부정맥의 진단..
1. 심전도
2. 24시간 심전도
3. 심초음파
4. 운동부하심전도검사
5, 전기생리적검사
6. 기립경사검사
부정맥 치료..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부정맥을 조절하기 위해 항부정맥제를 사용하거나 심장 율동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전기충격치료를 할 수도 있다.
원인이 되는 비정상 전기 경로를 심장 전기생리검사, 도중 고주파 절단법으로 제거하기도 한다.
심박동수가 너무 낮은 경우의 치료법으로는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여 심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심장의 전기 전달 체계]
[심장의 전기 생리 검사]
*자료 : 대구 동산병원 심장내과
심장부정맥관련 방송(대구TBC홈페이지/TV/ 클리닉 건강365/EKTLQHRL/955번 VOD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