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교량 12.34㎞, 연결도로 8.93㎞를 합하여 총연장 21.27㎞로 인천국제공항, 송도국제도시, 청라지역을 삼각축으로 연결한다. 2005년 6월에 착공하여 2009년 10월 완공
해상다리는
사장교 1480m, 접속교 1778m, 고가교 8400m와 요금소 광장 685m로 이루어지며 국내 사회간접자본사업 최초로 영국의 AMEC사가 시행사로 참여하였다.
다리 너비는 31.4m이고 왕복 6차선이다.
초속 72m의 폭풍과 진도 7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가 되어 있으며 10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충동방지공 모형실험을 통해 10만t급 선박과 충돌할 때에도 교량이 안전하다.
사장교는 주경간이 800m로 국내 최장이며, 사장교 형식 다리로는 세계에서 5번째로 길어 10만t 급 선박의 교차통행이 가능하다.
주탑은 높이 238.5m로 국내에서 가장 높으며 내풍 안전성에 유리하고, 인천항의 관문적 경관성을 고려하여 높이 238.5m의 역Y형 콘크리트 구조로 설계되었다.
고가교는 상부는 50m 경간장을 가지는 5경간 연속 PSC박스 거더 형태이고, 하부는 현장타설말뚝과 교각을 일체로 한 벤트 타입 구조를 적용했다.
접속교는 상부의 경우 각 경간을 145m로 하여 7경간 연속 PSC박스 거더 형식으로, 하부는 현장타설말뚝 기초와 사각형 중공교각으로 구성되었다.
연결도로는 바다 위에 건설되는 인천대교에서 뻗어나와 송도와 영종도로 이어지는 도로로서, 2005년 12월 착공되어 2009년 8월 완공
5개 공구로 나누어 공사가 진행.
1공구는 복합 트러스교로 시공되며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서 운남동까지 2.4㎞, 왕복 6차선이다.
2공구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017번지 일대의 1.66㎞로 하이브리드 중로 아치교로 시공된다.
3공구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북쪽 해상에 2180m의 다리로 스트럿 부착 PSC박스 거더교로 시공된다.
4공구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해상에서 목련동까지 990m의 왕복 4차선으로 V형 주탑 강사장교로,
5공구는 목련동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학익동까지 3300m의 왕복 2차선으로 엑스트라 도즈교로 시공된다.
인천대교는 제2, 제3 경인고속도로 및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 및 서울 남부, 수도권 이남지역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의 통행시간이 40분 이상 단축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송도국제도시까지 걸리는 시간은 현재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해 인천대교를 이용하면 1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2005년 12월 영국 건설전문지 〈컨스트럭션 뉴스〉에서 ‘경이로운 세계 10대 건설’로 선정되었으며 2006년 3월 〈유로머니 〉선정 ‘2005년 최우수 PF-아·태지역 교통인프라부문’상을 수상했다.
[출처 다음백과]
인천대교 위 주 정차가 근본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차량을 이동하면서 촬영하여 가끔 차량유리창에 촛점이 맞아 흐린 사진이 있음



























|
왕복 6차로인 인천대교의 총 길이는 18.4km로서 국내 최장대교량.
길이로는 세계 6위 규모이고 인천항을 드나드는 대형선박들이 통행하는 주항로 구간의 최대경간장은 800 m로서 국내 최대이며, 사장교 형식 교량으로는 세계 5위 규모입니다. |
 |

|
사장교를 지지하는 주탑의 높이는 230.5m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다. 대형선박들이 통행하는 사장교 구간의 교량 상판 높이는 바다 위로부터 74m입니다. * 63빌딩 249m,무역센터 228m,에펠탑 높이 320m |
• |
이 외에도 인천대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 세계최대하중 말뚝재하시험 실시 : 연직하중 약 29,000톤 작용 - 세계최대규모 돌핀형 선박충돌방지시설 적용 : 100,000 DWT 선박의 교량 충돌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 - 우리나라 최초로 외국인이 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민간자본 SOC 사업 - 설계와 시공을 병행하는 Fast track 방식으로 사업 진행 : 공사기간 단축 - 우리나라 최초로 교량의 상부 및 하부 구조 설계에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 적용 ※ 거가대교 - 우리나라 최초로 교량의 PSC 박스거더에 종방향 및 횡방향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을 적용 - 우리나라 최초로 도로교에 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을 적용 : 길이 50m - 우리나라 최초로 현장타설말뚝 철근망 제작에 자동화 설비 도입 -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현장타설말뚝 시공 : 직경 3m, 최대길이 76m -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교각일체형말뚝(bent type pile, pile bent) 시공 : 직경 2.4~3.0m - 우리나라 최초로 모든 말뚝마다 시추조사 및 건전도 검사 실시 : pile bent 구간 -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파일캡 PC하우스 가설 : 35m×25m×5.4m / 1,800톤 - 우리나라 최장 프리캐스트 FCM 교량 : 경간장 145m [자료출처 : 인천대교 http://www.incheon-bridge.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