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화성(華城)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4킬로미터의 성곽이다.
1963년 사적 3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수원 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치성,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추어 한국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된다
조선 후기 때인 1794년 착공하여 1796년9월 10일에 준공되었다.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그 무덤을 최고의 명당 터로 옮긴 정조는 그 인근에 신도시인 화성을 건설했다.
기존에 화강암으로 쌓았던 방식을 버리고 벽돌로 쌓는 축성 공사에는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가 활용되어 인력 소모를 적게 하였다 라는 공사 보고서가 있다
정조가 그의 아버지의 묘를 수원에 옮기면서 축조한 성으로 거중기 녹로 등 신기재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화성은 군사적 방어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함께 보유하고 있으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동양 성곽의 백미로 평가 받는다
주요 시설
화성은 돌로 성곽을 쌓은 석성이다.
네 개의 대문과 다섯 곳의 암문, 두 곳의 수문이 있다 대문으로는 장안문(북문), 팔달문(남문), 창룡문(동문), 화서문(서문)이 있다.
네 개의 대문 모두 옹성을 둘러 적이 쉽게 문을 부수지 못하도록 하였다.
성곽에는 돈대 각루 공심돈 적대 장대 등 적의 침입을 방비하는 시설을 갖추었다
암문으로는 서남암문, 남암문, 서암문, 동암문, 북암문이 있으나, 그 중 남암문만 복원되지 않았다
(자료 출처 다음 위키백과)
화성열차
[연무대]
연무대
동북공심돈
동북노대
성곽내부
휴대용 화포인 불랑기5호
성곽외부
성곽내부
[창룡문]
[화홍문]
[동북각루(방화수류정)]
[동북포루]
[장안문]
[서장대]
[팔달문]
[화성행궁 - 조선행궁 건축의 백미]
화성행궁은 1789년(정조13년)에 건립한 행궁으로 1794년~1796년(정조18~20년)에 걸쳐 진행된 화성 축성 기간에 화성행궁을 확대 완성되었다.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여부친인 사도세지의 원친입현륭원(현재의 융릉)을 13차례 참배하며 이 기간 중 화성행궁에서 유숙하였다 건립당시 600여간 정궁형태로 리루워져 우리나라 행궁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