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경상권旅行

성주 선석사와 세종대왕자태실

가야산도사(倻山) 2008. 11. 23. 21:13

 

성주 월항 인촌리 서진산 기슭에 있다.

신라 의상대사가 692년 전국에 10개 사찰(팔공산 미리사(美里寺), 지리산 화엄사(華嚴寺), 웅주(熊州) 보원사(普願寺), 계룡산 갑사(甲寺), 삭주 화산사(華山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전주 국신사(國神寺) 등 화엄10찰)을  지을 때 신광사라 지은 절로 현 절터 약간 서쪽에 자리했다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에 현 터로 자리를 옮길  때 닦는 터에서 큰바위가 나왔다하여 선석사라 이름을 바꿨다 한다. 

근처 200m 떨어진 곳에 태봉이 있는데 태실의 수호사찰로 유지되면서 영조로부터 어필을 하사 받았다.

 

주)선석사 뒤 서진산에는 누진산으로 잘못 표기된 정상석이 있다. 이는 서진산(棲鎭山)을 누진산(樓鎭山)으로 잘못 읽은 오류에서 비롯된 것이다.국립지리원 지도에는 분명 서진산으로 표기되어 있다.

 

 

 작촌마을 뒤 저수지에서 본 서진산과 태봉(왼쪽 중간의 둥근 봉우리)

 태봉과 선석사 갈림길

 선석사 입구 가로 누워 있는 소나무

 

 

 

 

선석사 입구에는 아름드리 소나무와 느티나무가 많다

선석사 전경

 

 해학적인 나모아미타불석~

 

 

 

 해우소~

 선석사 대웅전

 

  

 

 선석사의 일주문 아닌 일주문과 사천왕상을 대신하는 그림, 그림 하단에 공양주 이름이 적혀 있다

 다른 사찰에 있는 대웅전 앞 석탑이 없고 석탑을 대신하는 바위가 자리 잡고 있다.

 선석사의 종무소 건물인 정법료(正法寮), 영조로부터 받은 어필(御筆)이 보관되어 있다

 

 대웅전 왼쪽처마아래에 있는  대형 목탁과 말벌집

 

 대웅전 내부

 기왓장으로 지은 굴뚝이 특이하다

 

 대웅전 바로 뒤에 있는 산신각과 내부

 

 

 

 

 

 선석사 가람배치.... 제일 큰 건물이 대웅전이다

 

 

 

 

 2008.10.29 상량식을 한 태장전

 

 

------------------------------------------------------------------------------------------------------------------------- 

  세종대왕자태실

 

인촌리 선석산(禪石山, 742.4m) 아래의 태봉(胎峰) 정상에 소재하는 세종대왕자태실에는 세종대왕의 적서(嫡庶) 18왕자 중 큰 아들인 문종(文宗)을 제외한 17왕자의 태실과 원손(元孫)인 단종(端宗)의 태실 등 모두 19기가 있으며, 이곳은 세종 20년(1438)에서 24년(1442) 사이에 조성되었다.

전체 19기중 14기는 조성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나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한 다섯 왕자의 태실의 경우 방형의 연엽대석(蓮葉臺石)을 제외한 석물이 파괴되어 남아 있지 않으며, 세조 태실은 즉위한 이후 특별히 귀부를 마련하여 가봉비(加封碑)를 태실비 앞에 세워두었다.
1977년에 태실을 정비하던 중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분청인화문개(粉靑印花紋蓋) 2점(경북대학교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각 1점 소장), 분청인화문완(粉靑印花紋)1점(국립대구박물관 소장), 평저호(平底壺)1점(국립대구박물관 소장), 지석(誌石)3점(국립경주박물관소장) 등이 있다.

재질은 화강암이고, 형식·구조는 연엽형의 개첨석(蓋石)(저경(底徑) 102㎝,고(高) 42㎝), 구형(求形)의 중동석(中童石)(고(高) 26㎝, 하경(下徑) 80㎝, 상경(上徑) 75㎝), 방형(方形)의 연엽대석(蓮葉臺石)(변(邊) 125.5㎝. 고(高) 60㎝), 석함(石函)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실비문에 ‘ㅇㅇ(대)군명태장 황명연호연월일입석(ㅇㅇ(大)君名胎藏皇明年號年月日立石)’이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세조 가봉비 비문은 멸실(『실록』에 비문 수록됨)되었다.

세종대왕자태실은 우리나라에서 왕자태실이 완전하게 군집을 이룬 유일한 형태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태실의 초기 형태연구에 중요한 자료라는 점, 그리고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교체와 함께 왕실의 태실 조성방식의 변화 양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자료출처 : 성주군 관광문화 홈페이지]

 

 

  

 

 

세종대왕자태실 올라 가는 길과 까치

 세종대왕자태실 분포도

 

 

 

 

 

 세종대왕자태실에서 보이는 서진산 정상부

 단종 태실

 

 

 

 

 

 

 

 

 

 

 

 

 

 

 

 

 

 

 

 

 

 

 

 

 

 

 주차장 옆에 전시된 이 곳에서 출토된 토기의 태호(항아리)로는 분청인화문의 대접, 분청상감연화문의 뚜껑 1벌 모형

 

 

지도를 클릭하시면 위치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